본문 바로가기
health+security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백신 접종 및 예방법

by Emeth Media 2024. 3. 30.

질병관리청에서 3월 30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로를 내렸다.

전남 완도군과 제주시에서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되었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예방접종을 맞아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매해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를 발견되면 주의보를 발령한다.

3월 29일 완도군과 제주시에서 올해 처음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3월 30일 주의보를 내렸다.

올해 발령은 2023년보다 7일 정도 늦어졌는데, 이는 3월 평균기온이 지난해보다 낮아 모기의 활동이 늦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서 서식하는 암갈색의 작은 모기인데, 밤에 활동을 한다.

매년 3월 말부터 나타나 8월 내지 9월에 정점을 보인다고 한다.

 

 

작은빨간모기는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 4.5mm 정도의 작은 모기로 암갈색을 띄고 있다.

주로 논이나 연못, 수로, 미나리밭, 웅덩이 등에서 서식한다.

7월 초에 발생빈도가 늘어나기 시작해 8월부터 9월 중순에 정점을 지난 뒤, 감소한다.

 

일본뇌염 증상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열이나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드물게 뇌염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고열과 발작, 경론, 착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자 가운데 70% 이상이 합병증이 발생했는데 인지장애, 운동장애, 마비, 언어장애, 발작 등이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본뇌염 감염자는 91명이었는데, 이중 남성이 55.4%이었며, 50대 이상이 87%를 차지했다. 

이중에서 15명이 사망해 치사율은 16.4%에 이른다. 

일본뇌염 백신 접종

일본뇌염은 백신이 개발되었으며, 2011년 이후 출생한 아동은 필수예방접종 대상이다.

불활성화 백신은 모두 5회에 걸쳐 접종하는데, 1, 2차는 생후 12~23개월 사이에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이후 2차 접종이 11개월 지나면 3차 접종을 맞으며, 4차와 5차는 6세와 12세에 접종한다.

생백신은 모두 2회 접종하는데, 1차는 생후 12~23개월에, 2차는 1차 접종 12개월 이후에 접종하면 된다.

 

일본뇌염 예방법

일본뇌염을 예방하려면 최대한 모기를 피하는 것이 좋다.

밤에 활동하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밤에 외출할 때는 밝은색에 길고 폼이 넘은 옷을 입는 것이 좋으며, 최대한 피부의 노출을 피하고, 노출될 경우에는 모기 기피제를 바르거나 뿌리는 것이 좋다.

진한 향수나 화장품은 모기를 부를 수 있기 때문에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집안에 모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방충망을 설치하고 모기장을 사용할 필요도 있다.

 

야외 활동시 주의사항

  • 모기가 활동하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한다.
  • 밤에 외출할 때는 밝은 색 긴 옷, 폼이 넓은 옷을 입고, 노출된 피부는 모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이 좋다.
  • 진한 향수나 화장품은 모기를 부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 모기가 실내에 들어오지 않도록 방충망을 설치하고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